전체 글 (76) 썸네일형 리스트형 [React] useEffect와 useLayoutEffect훅 이해하기 컴포넌트 생명 주기란? 리액트 프레임워크에서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렌더링하다 특정 시점에 소멸하는 과정을 컴포넌트의 생명주기(lifecycle)이라고 한다. 컴포넌트의 생명주기는 클래스 컴포넌트가 더 직관적이므로 클래스 컴포넌트로 생명주기에 관해 알아보자.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상태 구현하기 클래스 컴포넌트 코드를 추가하자. 다만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상태는 state라는 이름의 멤버 속성으로 구현해야 하는 제약조건이 있다.import {Component} from 'react'import {Title} from '../components'export default class ClassLifecycle extends Component { //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는 상태를 state라는 이름의 멤.. [React] useState 훅 이해하기 가변 상태를 캐시하는 useState 훅 useMemo 훅은 불변 상태를 캐시하지만, useState 훅은 가변 상태를 캐시한다. 리액트 프레임워크는 세터 함수가 호출되면 컴포넌트의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즉시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한다. 다만 상태에는 타입이 존재한다. number, boolean, string 같은 원시 타입(primitive), 객체, 배열, 튜플 타입일 수도 있다.useState의 선언문을 보면 ''는 상태의 타입을 나타낸다. S = string, S = number, S= { key : value} 등으로 타입이 결정된다. 이 제네릭 타입 덕분에 useState는 다양한 타입의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다. 매개변수의 initialState는 상태의 초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38 다음 목록 더보기